상단영역

본문영역

안전의 최대 공적(公敵)은 무관심(無關心)

안전의 최대 공적(公敵)은 무관심(無關心)

  • 기자명 박철희 주필
  • 입력 2016.04.04 11:47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천재지변(天災地變)이야 사람의 힘으로는 도저히 막을 수 없는 불가항력적 (不可抗力的) 영역이다.

지진이나 태풍, 폭우, 폭설 등이 이러한 경우에 해당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천재(天災) 이외의 안전사고들은 크던 작던 모두가 사람의 잘 못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다.

사고를 야기한 관리자나 책임자들은 대부분 이를 실수(失手)라고 얼버무리거나 변명하려고 한다.

인간적으로는 “그래, 정말 작은 실수(失手)이지”라며 그저 애교스럽게 슬쩍 넘겨주고 싶지만 이 같은 경우가 반복 되다보면 결국에 가서는 대형 사고로 이어질 소지가 너무 많아 몰인정하게 체벌을 가하던지, 아니면 따끔한 경고의 뜻을 전하는 게 온당하다. 표현이 좀 그렇지만 얼마든지 ‘바늘 도둑이 소도둑’될 소지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실수(失手)는 당사자의 조심성 결여, 산만함 및 집중력 부족, 수칙 불이행 등에서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속적인 현장 교육과 훈련, 철저한 관리 감독 등을 통해 이를 얼마든지 줄이거나 근절 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안전’문제와 관련하여 ‘사람의 실수(失手)’보다 더욱 경계해야할 문제가 있다.

그것은 ‘무관심(無關心)’이다.

무관심이란 아예 ‘마음이란 코드’를 쏙 빼버린 상태를 말한다. 그러하니 좋고 나쁨은 물론 상대방이 무얼 하는지, 그 사람에 취향 따위 등과는 전혀 아랑곳 할 게 없을 수 밖에 없다. 남의 집에 밥이 끓건 죽이 끓건 말건 ,심지어 이웃 집에 화재 또는 축대 붕괴의 위험이 있건 말건 나와는 전혀 ‘돈 케어’이다.

안타깝게도 위에서 열거한 이런 모습들이 오늘을 사는 우리들의 초상화(肖像畵)이다.

요즘의 사회적 기조(基調)가 ‘철저한 개인주의’라고는 하지만 국민과 시민 모두의 생명과 재산 보전 문제와 직결되는 ‘안전문제’마저 개인주의에 의한 무관심 일변도라면 그것은 정망 위험천만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얼마 전 국회에서 억지춘향 식 으로 통과는 됐지만 숱한 나관을 거듭한 테러방지법의 경우만 하더라도 국민의 안전보다는 정치적 논리가 앞섰다는 지적이 우리에게 오히려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정부가 아무리 ‘안전’ ‘안전’하며 목청을 높여도 국민들이나 일선 공직자나 현장 사람들이 귀 기울이지 않는다면 그 같은 노력은 단지 메아리에 그칠 수밖에 없는 일이다.

제도와 규정, 법령이 아무리 잘 만들어져 있다하더라도 국민들이 이를 지키려는 마음의 자세가 잡혀있지 않으면 그 것 또한 허사(虛事)일 게 뻔하다.

우리 속담에 “손뼉은 마주쳐야 소리가 난다”고 했다. 수레가 제대로 가려면 앞에서 끄는 사람과 뒤에서 미는 사람이 호흡을 잘 맞추어야만 한다. 부모들이 자식에게 무관심하다면 그 집안은 어떤 모양이 될지 다들 짐작이 가리라 생각한다.

무관심은 극단적인 죄악이다. 개인적 관계에 있어서는 상대방의 존재 자체를 송두리체 무시하는 잔인한 행동이며 동시에 어떤 이유로든 변명의 여지가 없는 비겁한 행동이다. 집단 공동체의 생활 속에서는 본인은 물론 많은 사람들에게 예기치 못할 엄청난 폐해를 안겨주는 위험천만한 사고방식이다.

무관심은 치명적 인재(人災)로 이어져 수많은 사람의 생명과 재산을 앗아가게 된다는 점을 기억해둬야 할 것이다.

결국 안전의 시발은 ‘관심’부터라는 말이 되는 것이다.

본지 주필 박철희 
 
<1972-1998,8 매일경제신문사 제직>
산업부 기자, 차장, 정치부장, 사회부장,
유통경제부장, 과학기술부장, 문화체육부장,
편집부국장, 주간매경 편집인(국장) 
 

 

저작권자 © 소방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